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나의 투쟁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기타 == [youtube(s6-XeyNMCJw)] >Fils: Voilà, tous les cadeaux, voilà. C'est Noël, c'est comme ça. Qu'est-ce que c'est ça? Non '''mais c'est Minecraft qu'il voulait!''' >Son: Look at all the gifts, it's christmas. What the hell is that? '''He asked for [[마인크래프트|Minecraft]] dad!''' >아들: 이 [[선물]]들 좀 보세요. [[성탄절]]입니다. (황급히 책을 뺏으며) 이게 뭐야? (아들이) '''[[마인크래프트]] 달라고 했잖아요 아버지!''' > >Papa: Mais il m'a dit '''Mein Kampf'''. >Dad: He told me '''Mein Kampf'''. >아버지: (손자가) '''마인 캄프'''(나의 투쟁)라고 했어. > >Fils: Mais non, papa. C'est '''Minecraft'''. Mais où t'as trouvé ça, c'est pas possible. Non c'est pas pareil, c'est un jeu vidéo, 'Minecraft', pour les gamins. C'est pas possible... >Son: No Dad! he said '''Minecraft'''. Where the fuck did you find this? It's not the same, dad. Minecraft is a '''video game'''! For Fuck sake...[* 원어를 들어보면 욕을 한 건 아닌데 [[영어]] 번역에는 욕이 들어가 있다. C'est pas possible은 직역하자면 '불가능하다'는 뜻으로, 감탄이나 경악의 의미다. 영어로 치면 "It's impossible"의 뉘앙스.] >아들: 아니에요, 아버지! '''마인크래프트'''였어요! 세상에 이런 건 또 어디서 구한 거야? 전혀 다른 거예요, 아버지. 마인크래프트는 애들 '''비디오 게임'''인데! 아 나 돌아버리겠네... 2019년 [[프랑스]]의 한 가정에서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크리스마스 선물로 《나의 투쟁》 책을 준비하자 이를 영상으로 찍고 있던 그의 아들(=아이의 아버지)이 깜짝 놀라 책을 뺏고 '''"'마인 캄프'가 아니라 '[[마인크래프트]]'라고 했잖아요 아버지!"'''라고 일갈하는 영상이 화제가 되었다. [[프랑스어]]로 Minecraft가 [[독일어]]인 Mein Kampf[* 《나의 투쟁》은 [[프랑스]]를 비롯해 [[로마자]]를 사용하는 세계 다수의 국가에서 [[독일어]] 원제인 Mein Kampf로 알려져 있다. 일종의 고유명사인 셈. 물론 로마자를 쓰지 않는 국가는 해당하지 않지만 이런 경우에도 대부분 부제로 원제를 그대로 적어둔다.]와 비슷하게 들리는 데다[* 실제로 Minecraft는 대부분의 방언에서 r을 구개수음으로 발음하는 [[프랑스어]], [[독일어]] 등에서는 "마인크하프트" 비슷하게 발음한다.] 고의가 아니라 정말 몰라서 벌어진 실수로 보였기 때문에 할아버지가 당황해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유튜브 등지에선 웃긴 [[밈]]으로 자리잡았다. 사실 이 영상은 코미디언인 얀 스톨츠가 의도적으로 연출한 것이다. 마인크래프트가 [[프랑스어]]로 마인 캄프와 비슷하게 들린다는 것을 자신의 대자에게 마인크래프트를 선물해 주고 나서 웃기다고 생각해서 이걸 찍은 건데, 연출한 영상이라고 설명하는 엔딩 크레딧 없이 퍼지는 바람에 사람들이 실제 있었던 일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저 《나의 투쟁》 책도 [[쥘 베른]]의 책에 커버만 인쇄해서 붙여 놓은 것이다. [[적도 기니]]의 초대 대통령이자 '아프리카의 [[폴 포트]]'라고 불릴 정도로 잔혹한 독재자였던 [[프란시스코 마시아스 응게마]]는 《나의 투쟁》의 보존 상태가 좋은 사본을 보유하며 '''5번이나 정독하고 암송까지 했던 데다''' 그걸 넘어 [[1967년]]에 [[마드리드]]에서 열린 적도 기니의 독립을 논의하기 위한 회의의 총회에서는 "나는 히틀러를 아프리카의 구세주라고 생각한다. 그는 인간이기 때문에 실수를 했지만 그의 목적은 전 세계의 식민주의를 종식시키는 것이었다."라는 희대의 [[망언]]을 총회에서 대놓고 남기기도 했다. 후에 밝혀진 바에 따르면 응게마는 [[마약]] 중독자에 문자 그대로의 [[사이코패스]]였던 데다 온갖 [[정신질환]]을 앓고 있던 사람이었다고 한다. 한 탈북 작가에 따르면 [[북한]]의 독재자 [[김정은]]도 [[https://www.rfa.org/korean/weekly_program/ae40c528-c77cac00c758-ac70c9d3acfc-c9c4c2e4/co-jj-06252013124405.html|《나의 투쟁》을 즐겨보고 간부들에게도 추천 도서로 권장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북한의 지도자들이 히틀러를 존경했다는 말은 증명할 수 없는 썰에 불과하며 [[강명도]]가 "[[김정일]]이 히틀러를 존경했으며, 아예 《나의 투쟁》을 베개처럼 베고 잔다"고 했는데 [[성혜랑]]은 "황당한 소리"라고 반박하면서도 "다만 김정일의 서재에 《나의 투쟁》이 있긴 했다"고 덧붙였다. 여기에 더해 [[고영환]]은 김정일이 나치 시대의 특무인 [[칼텐브루너]]를 언급하면서 "모두가 그처럼 유능해져야 한다"고 강조한 적이 있다고 증언했다. 실제로 김정일이 일부 유능한 나치 인물들을 본받으라고 한 것에 나치 낙인을 찍으려는 의도가 혼합되어서 나온 썰로 보인다. 공식적으로 [[북한]]을 비롯한 공산권 공통의 역사관에서 소련을 침공한 [[아돌프 히틀러]]는 당연히 매우 비판적으로 본다. 북한에서 나온 조선대백과사전에서는 단순히 그의 악행을 소개하는 정도가 아니라 감정적인 소인배로 개인적인 부분까지 공격하고 있다. --그 북한에서조차 까이는 히틀러-- '''최소''' 138명의 무고한 소년들을 강간하고 살해하여 역사상 최악의 [[연쇄살인범]] 중 한 명으로 꼽히는 [[루이스 가라비토]]도 이 책에 감명을 받아 히틀러와 홀로코스트에게 경의를 표했다고 한다. [[카이저라이히: 대전의 유산]]에서는 아돌프 히틀러가 [[제1차 세계 대전]] 때 동부 전선에서 가스 공격을 받던 중 방독면이 고장나 전사하고 유품 중 전쟁 당시 쓴 일기를 발견해 집으로 보냈던 편지와 함께 엮어 출판하고[* 불쏘시개인 현실의 《나의 투쟁》과 다르게, 참혹했던 세계 대전을 일선 병사의 시각으로 있는 그대로 적어내려간 설정인지 독일 제국에서 주목받는다고 한다.] [[레니 리펜슈탈]]이 《우리의 투쟁》이라는 이름으로 영화화한다. 또 루르 폭동 관련 이벤트를 보면 독일 극우로 [[푈키셔 내셔널리즘|뵐키셔]], [[보리스 사빈코프|사빈코프주의자]][* 독일인이 게임 내에서 반독 보복주의를 내세우는 사빈코프를 추종한다는 점에서 정상은 아니라는 점을 알수있다.]와 함께 [[국가사회주의]] 운동이 언급되는데 히틀러가 나치를 창설하진 않았다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볼수 있다. [[라이어 게임]]에서 [[요코야 노리히코]]가 《나의 투쟁》을 읽고 있는 장면이 나온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회고록의 부제가 《민주주의를 위한 '''나의 투쟁'''》이라 당혹하는 사람도 있다. [[독일어]]로 번역하면 《'''Mein Kampf''' für die Demokratie》이 된다. 《에이스 가이》라는 코미디 영화에서는 인간 사냥꾼의 서재에서 주인공이 이 책을 발견하였다. [[쇼크 트루퍼스 세컨드 스쿼드]]에 등장하는 '''악역''' 나카토미의 애독서이기도 하다. [[아토믹 하트]]에서 주인공이 [[독일인]]에게 이와 관련된 농담을 한다. 래퍼 [[뉴챔프]]가 이 책을 모티브로 제작한 《나의 투쟁》이란 곡도 있다. 2016년 10월 9일에 영국 애버딘대의 역사학자인 토머스 웨버가 "《나의 투쟁》 이전 히틀러의 첫 자서전이 발견되었다"고 주장했다. [[http://m.news.naver.com/read.nhn?oid=001&aid=0008739945&sid1=104&mode=LSD|#]] 이것이 사실이라면 히틀러의 사상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다시 이루어질 것이다. [[독일어]] 원문의 프락투어체로 된 문서가 존재하며 루르 지방의 희생이니 (프랑스와 벨기에에 의한) 오버슐레지엔 지방의 구원이니 히틀러의 독일에 대한 보수적인 생각들이 꽤 담겨 있는 편이다. 위 기사에서 말했듯 코에르베르라는 인물이 저자로 올라와 있다. [[https://openlibrary.org/works/OL1067425W/Adolf_Hitler_-_Sein_Leben_und_seine_Reden|#]] [[일본]]에선 학교 재량에 따라 수업 교재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다만 역사적 배경을 고찰하기 위함이고 만약 [[인종차별]]을 조장할 목적으로 사용하면 처벌한다고 하였다. [[https://www.yna.co.kr/view/AKR20170415030300073|#]] 사실 일본은 과거 [[나치 독일]]과 [[추축국]]으로서 우방국이었던 적이 있었기 때문에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 비해서는 나치에 대한 반감이 비교적 적은 편에 속한다. 물론 어디까지나 상대적이라는 소리지 일본도 공식적으로는 네오 나치 행위를 금기시하고 있다. 여성학회 학술지에 용어만 바꾸어 등재되기도 했다. 자세한 것은 [[페미니즘 학회 나의 투쟁 등재 사건]] 문서 참고. [[https://www.timesofisrael.com/duped-academic-journal-publishes-rewrite-of-mein-kampf-as-feminist-manifesto/|#]] [[이란]]의 혁명가이자 이란 이슬람 공화국의 초대 [[라흐바르]]인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의 자서전 제목도 '''《호메이니의 나의 투쟁》'''(원제: Ayatollah Khomeini's Main kampf)인데 1980년에 발매됐으며 심지어 대한민국에도 동광출판사를 통해 정발까지 됐다. [[https://www.fmkorea.com/6469544008|#]] [[https://wlib.yonsei.ac.kr/search/detail/CATTOT000000466292|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학술원 자료]]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507655|고려대학교 도서관 대출 항목]] 2023년 [[파키스탄]]에서 방영한 드라마 Bepanah 71회에서 등장인물 Gul이 책을 읽고 있는 장면으로 등장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nmkSBkYGaOk&t=778s|#영상 보기#]]. 이 장면은 드라마 작가의 요구가 아닌[* 작중 Gul은 우르두어 문학을 사랑하는 평범한 문학소녀로 나치즘과는 1도 관련이 없다.] 촬영진 독단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https://english.aaj.tv/news/30309248/why-was-mein-kampf-in-this-pakistani-drama-scene|###]]. [[히틀러가 되었다]]에선 주인공이 반유대주의를 비롯한 엉터리 내용 대신 세계 정세에 대한 예측을 넣어 출판했다. 특히 1929년의 [[대공황]], 일본의 침략 행보와 중국의 비상을 예측하였기 때문에 중국에서 엄청난 인기를 얻었고 대공황 발생 이후 세계 곳곳에서 불티나게 팔렸다. 2차 대전에서 승전한 뒤에는 《우리의 투쟁》이라는 제목으로 두 번째 자서전을 냈다. [[12.3 비상계엄]]의 핵심인물인 前 [[국방부장관]] [[김용현]]이 즐겨 읽는 책이었다고 [[오마이TV]]에 출연한 [[추미애]] 의원이 폭로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mjNU9Dkn9yM|"금서로 지정된 히틀러 자서전" 김용현 즐겨 읽던 책 폭로에 '경악' [지금이뉴스] / YTN]] [[https://www.youtube.com/watch?v=9prDOS9PeaM&t=1561s|[최초공개/긴급방송] 추미애 “총독정치 꿈꾸나!" “김용현의 애독서 히틀러의 ‘나의 투쟁’" / 오마이TV]]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